Citation : 이가윤, 안주영. 심박수 측정 원리인 빛과 소리를 이용한 아두이노 기반 새로운 혈압 측정 원리 탐구.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2022)
연구자 : 이가윤
지도교사 : 안주영
대회 :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중요단어 : 아두이노, 웨어러블 헬스케어, 빛, 소리, 베르누이의 원리
요약 :
웨어러블 헬스케어라는 스마트워치의 확산으로 인간의 생명과 건강한 삶의 중요지표인 혈압에 많은 관심과 함께 중요성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여 빛과 소리를 이용한 새로운 혈압측정 원리를 착안하여 MBL센서를 활용하여 탐구했다. 코딩언어를 바탕으로 실험결과 전반을 코딩프로그램을 통해 구체적 산출물로 이끌어냈다. 빛을 통한 측정의 경우 스마트폰을 활용한 혈압 측정의 경우 LED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카메라 동영상의 밝기 변화를 이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했다. 같은 방법으로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심박수측정기를 만들었다. 소리의 경우 스마트폰 앱(Samsung Health)과 청진기를 활용하여 심장 박동수를 확인하여 심박수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이를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심박수 측정기를 만들었다. 심장에서 손까지 혈액의 이동 시간과 혈압의 관계를 측정하고, 그 관계를 이용한 혈압계를 만들었다.
Reference
[1] 국립중앙과학관. https://www.science.go.kr/
[2] 장수민, 문셋별. 가변 스프링 귀 혈압계. 제38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3] 이정현. “애플워치가 날 살렸습니다"…5명의 감동 사연. ZDNet Korea. (2020)
[4] 두기. 심장과 심박수.사이클링연구소.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bikeone73/20004543981
[5] 네이버 블로그(오투, 중등과학(2학년 과학 정리)
[6] 심장. 건강정보.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body/bodyDetail.do?
[7] 이영헌 . 고혈압, 공부가 필요하다. 영남일보. (2013).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30416.010200736080001
[8] 정남식. 혈압과 혈관노화. 헬스조선. https://m.health.chosun.com/column/column_view.jsp?idx=8080
[9] 소재현, 美 가이드라인 변경 불구, 한국 고혈압 기준 변화 없다. 청년의사. (2018)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6128
[10] 노환규. 혈압의 올바른 측정 방법과 원리. 하트웰의원.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heartwellclinic/220593091260
[11] 허경용. 아두이노 바이블 Vol. 1 아두이노 기초편. 제이펍 출판사
[12] 서현우. 혼자 공부하는 C언어. 한빛미디어 출판사
[13] 최진탁, 임석진. 매트랩 프로그래밍, 생능출판사
[14] 허경용. 아두이노 바이블 Vol. 2 유무선 연결과 입력 장치편, 제이펍 출판사
[15] 이지이지. 아두이노 LED 제어하기. Tistory 블로그. https://egeasy.tistory.com/entry/%EC%95%84%EB%91%90%EC%9D%B4%EB%85%B8-LED-%EC%A0%9C%EC%96%B4%ED%95%98%EA%B8%B0
[16] [아두이노 Q&A] 타이머 인터럽트 알아보기. 이토플레닛.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dokkosam/221492695029
[17] IT-G-House. 아두이노(Arduino) 홈 IoT 입문 – 온습도 센서 테이터 출력/저장 방법. Tistory 블로그.
[18] 녹칸다. 녹칸다 아두이노/C# 공짜강의 심박&산소포화도측정센서(MAX30102) 관련 모음.zip(포로리야공대가자). 신기한 상상력.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angstargosu/222615576371
[19] 아두이노 센서 마이크증폭센서. Tistory 블로그
※ 요약자 첨언 : [5], [19] 인용자료는 주어진 정보로 찾을 수 없었습니다.
출처 : 국립중앙과학관 전국과학전람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