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ation : 김예은, 이서연, 유한나. 우리 조상들은 왜 남향집에 살았을까?.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2022)
연구자 : 김예은, 이서연
지도교사 : 유한나
대회 :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중요단어 : 한옥, 일조량, 남향
요약 :
한국의 전통 가옥을 조사하여 일조량을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제작하였다. 가옥의 방향, 처마, 실내 벽지에 따른 실내 일조량을 측정하였으며, 남향 가옥의 특징을 적용할 수 있는 남부형 가옥을 추가로 연구해 보았다. 가옥의 방향은 남향집, 처마의 물매는 4치와 내밀기는 10.5cm, 밝은 벽지일 때 실내 일조량이 많았다.
Reference
[1] 한옥의 구조가 낳은 비밀. 건축사
[2] 한옥의 구성과 특징. 경북한옥지원센터
[3] 전통가옥의 비밀. 국립중앙과학관
[4] 김종남. 한옥 짓는 법. (2001)
[5] 김왕직.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2007)
[6] 김재웅. 농촌 한옥 표준 설계도 연구. 한국농천건축학회(2016)
[7] 네이버 지식백과
[8] 백한비. 양동 마을에 있는 관가정처마와 앞마당의 비밀. 제55회 전국과학전람회(2009)
[9] 빛을 과학으로 푼 지붕과 처마. 사이언스올(2012)
[10]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11] 신명호 외. 한국 문화 자원의 이해I. (2019)
[12] 임석재. 우리 건축 서양 건축 함께 읽기. (2001)
[13] 장기인. 한국 건축대계V. (2005)
[14] 장순용. 한옥 설계의 방법론적 고찰. (1933)
[15] 처마.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요약자 첨언 : [1], [2]는 자료가 확인되지 않습니다.
출처 : 국립중앙과학관 전국과학전람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