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ation : 이준협 외. 촛불은 왜 유리병 속에서 춤을 출까?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2022)
연구자 : 이준협, 하윤주, 박우주
지도교사 : 최성제
대회 :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중요단어 : 촛불, 대류
요약 :
유리병 속 춤추는 촛불에 대한 과학적 원리를 알아보고자 탐구를 시작하였다. 촛불이 많이 흔들릴 조건은 유리병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유리병의 크기가 작을수록, 유리병의 형태가 원기둥에 가까울수록 많이 흔들렸다. 촛불이 흔들리는 이유로는 초불로 가열된 공기가 위로 올라가 빠져나간 공기만큼 가장자리로 공기가 들어오며 그 흐름으로 초불이 흔들리는 것으로 보인다. 흔들림을 줄이기 위해서는 바닥에 구멍을 뚫거나, 덮개를 덮거나, 유리병의 벽의 높이를 39cm 이상 높이면 흔들림이 줄어들었다.
Reference
[1] 이원희, 최종복, 강난수. 양초의 연소에 관한 우리들의 탐구. 제42회 전국과학전람회. (1996)
[2] 구민섭, 박병덕. 양초의 불꽃에 관한 연구. 제46회 전국과학전람회. (2000)
[3] 전우수. 촛불 실험과 관련된 오개념 교정을 위한 지도방안 탐색,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제18집 제2호. (2000)
[4] 김지현, 김소형, 김경자. 촛불의 연소 시간에 관한 우리들의 탐구, 제52회 전국과학전람회. (2006)
[5] 신애경. 초등 영재학생들의 연소 개념, 과학영재교육, 제7권 (2015)
[6] 강태우. 양초의 연소와 소화 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이해,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2021)
[7] 네이버 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
출처 : 국립중앙과학관 전국과학전람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