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ation : 서원, 이종섭. 잠자리 날개에 숨겨진 수억 년의 비밀은 무엇일까?.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2022)
연구자 : 서원
지도교사 : 이종섭
대회 :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중요단어 : 잠자리, 잠자리 날개, 에어포일(익형), 풍동, 와류, 양력, 항력
요약 :
본 연구에서는 잠자리 날개의 구역별 굴곡으로 인한 에어포일을 구현하고 이를 기존 에어포일 및 다양한 형태와 비교함으로 잠자리 에어포일의 효과성 입증하고자 하였으며, 에어포일이 두 쌍일 경우에 대한 영향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잠자리 에어포일의 양력은 기존 에어포일 보다 7.8% 증가하였다. 잠자리 에어포일은 기존 에어포일보다 저속 비행에 유리하며 이는 잠자리 에어포일에 발생한 와류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에어포일의 위치에 따라 그 효과가 변화하했는데, 잡자리 에어포일의 경우 중간에 둘수록 양력 증진에, 외각에 둘수록 항력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날개 두개가 붙은 형상의 경우 기존 에어포일은 양력이 감소했지만, 잠자리 에어포일은 미미한 와류로 인하여 양력에 변화가 없었다.
Reference
[1] 위키피디아(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
[2] David-lie Levy & Avraham Seifert. "Simplified dragonfly airfoil aerodynamics at Reynolds numbers below 8000". Physics of Fluids 21, 071901 (2009)
[3] M Okamoto, K Yasuda, A Azuma;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wings and body of a dragonfly. J Exp Biol 1 February 1996; 19 (2): 281–294.
[4] 양용준. "간이 풍동 실험장치의 특성 분석 및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0. 제주도 (p.20)
[5] A.B. Kesel.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dragonfly wing sections compared with technical aerofoils. J Exp Biol 15 October 2000; 203 (20): 3125–3135.
[6] 이정호, 박훈철, 정성남. "앞전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복합재 날개의 날갯짓 추력효율."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0.1 : 15-156.
[7] 윤상일. 모형 항공기를 중심으로 한 항공기의 특성이해. 서울 : 良書閣, 2015
[8] 국립중앙과학관. https://www.science.go.kr/
[9] 구글(Google). https://www.gogle.co.kr/
[10] 네이버. https://www.naver.com/
출처 : 국립중앙과학관 전국과학전람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