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ation : 이철희, 노세영. 색조작이 가능한 벤함 팽이의 패턴 설계와 응용. 제 68회 전국과학전람회, (2022)
연구자 : 이철희
지도교사 : 노세영
대회 :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중요단어 : 벤함 팽이(벤햄의 팽이), 유채색
요약 :
벤함의 팽이는 흰색과 검은색으로만 이루어진 팽이이다.이 팽이를 돌리면 착시현상이 일어나 붉은색, 녹색, 푸른색 등의 유채색이 보이게 된다. 본 탐구에서는 벤함 팽이의 유채색 지각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탐구하였다. 또한 원하는 색을 내는 벤함의 팽이를 설계하고 색지각을 결정하는 조건들을 적용하여 다양한 벤함 팽이를 제작하였다. 벤함 팽이는 초당 7~11회 회전하는 것이 색이 잘 보이며, 유채색의 선명도는 팽이의 크기에 영향을 받았다. 또한 호와 호 사이의 간격이 있어야 유채색이 관찰되며, 호의 위치에 따라 원하는 색을 띄도록 조절 할 수 있었다.
Reference
[1] 강파라. 패턴-유도 명멸 색에서 위상-민감 측면 상호작용의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 이성균 외. 금속 원소의 불꽃 반응 실험에서 스펙트럼 세기에 따른 색상 인지에 관한 실증적 고찰. 현장과학교육, 13(4), 390-401. (2019)
[3] 임태훈 외. 중학교 과학1. 서울: 비상교육. (2013)
[4] 정영훈, 송제용. 색팽이의 색이 왜? 교과서나 참고서의 내용과 다르게 나올까?. 제58회 전국과학전람회. (2012)
[5] Campenhausen, C., & Schramme, J. 100 years of Benham's top in colour science. Perception, 24, 695-717.
[6] Kenyon, G. T., Hil, D., Theiler, J., George, J. S., & Marshak. D. W.(2004). A theory of the Benham Top based on center-suround interactions in the parvocelular pathway. Neural New, 17(5-6), 73-786.(1955). 10.1016/j.neunet.2004.05.005
[7] Nature publishing group. Nature(1984), 51(1309), 113-114.
[8] Tanabe, H. C., Sakai, T., Morito, Y., Kochiyama, T., & Sadato, N. Neural corelates and efective conectivity of subjective colors during the Benham's top ilusion: a functional MRI study. Cerebral Cortex, 21, 124-13. (2011). 10.1093/cercor/bhq066
출처 : 국립중앙과학관 전국과학전람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