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ation : 우지환 외. 분필 드르륵(Chalk Hopping) 소리로 음악을 연주할 수 있을까 Stick-slip 현상의 활용 방안 탐구.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2022)
연구자 : 우지환, 박연우, 이원준
지도교사 : 신주형
대회 :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중요단어 : 분필 호핑(Chalk Hopping), 스틱 슬립(Stick-slip)
요약 :
인터넷 강의나 수업 중, 선생님들이 한번의 움직임으로 점선을 긋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 기술은 흔히 ‘분필 호핑’ 이라고 불리는 기술이다. 분필 호핑에 대하여 자세하게 탐구해본 결과, 스틱슬립이 주된 호핑현상의 주된 원리였는데 이러한 스틱슬립 현상이 바이올린 첼로 등 많은 악기에도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스틱슬립 현상의 대표적인 예시인 분필호핑과 악기를 연결해보면 어떨까 생각해 보았고 분필 호핑을 이용한 연주를 계획하였다. 분필 호핑은 수직압력이 클수록 점의 간경이 줄어들었다. 칠판의 거칠기는 분필 호핑에 유의미한 연관이 없었다. 분필의 각도는 60~70도일 때 가장 잘 일어났다. 잡는 위치가 칠판에서 멀어질 수록 점사이의 간격이 멀어졌으며, 그 거리가 6cm일 때 가장 분필 효핑이 가장 잘 일어났다.
Reference
[1]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https://www.scienceall.com/
[2] 위키피디아 : https://www.wikipedia.org/
[3] 국립중앙과학관 : https://www.science.go.kr/
[4] EngNerd. 분필로 칠판에 점선을 그리고 원리를 설명하시오-10점. 세상의 모든 기술. 브런치.
[5] Casado, S. Studying friction while playing the violin: exploring the stick–slip phenomenon. Beilstein Journal of Nanotechnology(2017), 8, 159–16.
[6] John W. sanders. Could chalk hoping be caused by reverse chater?. Dynamic Systems and Control Conference. Vol. 51913.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2018)
출처 : 국립중앙과학관 전국과학전람회